본문 바로가기

Study in Bootcamp/회고56

FIN. CodeStates Bootcamp; 코드스테이츠 부트캠프를 끝내며 📎 DATE : 2022.06.23 THU ~ 2022.12.14 WED 📎 본 글은 코드스테이츠 부트 캠프를 마치며 쓰는 회고입니다. 📎 커리큘럼 참조 : https://codestates.com/course/backend-engineering ✨ SECTION 1 JAVA 코딩을 처음 배우는 것이라 굉장히 걱정도 되고, 떨렸던 기억이 아직도 남아있다. 기본적인 HTML, CSS를 맛보고 Git과 Linux의 먼지같은 기초를 배운 후 JAVA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했다. 완전 기초적인 지식 위주로 공부하였다. 여기서 배운 HTML과 CSS는 정말 그냥 맛보기였고, Git은 GitHub 사용을 위한 안내 정도, Linux는 터미널에서 자주 쓰는 명령어 정도의 수업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듯 하다. 하지만.. 2022. 12. 14.
20221213 데일리 회고 ✔️Date : 2022.12.13 TUE What did you do? ✅ 모의 면접 롤플레이 개선 할 부분 : 자기소개, 동료 부분 정리, 지원 동기 정리 : 일반 면접에 대해 질문하고 답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확실히 모의 면접 롤 플레이를 해보니 무엇이 부족한 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나의 말 버릇을 체크하였다. 동기들 앞에서도 이렇게 떨리는 데, 면접장 가면 큰일날 거 같아서 떨려도 잘 말할 수 있는 연습을 해야할 것 같다. 오늘 생각보다는 빠르게 얘기하지 않았던 것 같은데, 긴장하면 빨라지니 항상 주의해야겠다. 그리고 롤플레이 전에 커리어 코치님이 한 명씩 질문했었는데, 해당 부분에서도 개선점이 있어서 조금씩 수정해 나아가야 할 듯 하다. 돌아보기 : 확실히 직접 해보니 달랐다. 기술 면접도.. 2022. 12. 13.
20221212 데일리 회고 ✔️Date : 2022.12.12 MON What did you do? ✅ 면접 준비 일반 면접의 경우, 경험이 적다보니 어떤 방식으로 대답을 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인지 모르겠다. 또한 말을 조금 더 기억에 남고, 센스 있게 말하는 방법을 생각해보려고 한다. 기술 면접의 경우, 내가 이해는 했지만 정확히 설명할 수 없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해당 부분들을 하나씩 정리해서 준비를 해놔야 겠다. : 가장 어려운 면접 준비를 해보았다. 어떻게 말하는 것이 호감을 주고, 인상에 남길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보다 우선 1차적으로 답을 그냥 적어보았다. 그러다 보니 어떻게 말하는 게 좋은 방식일 지 더더욱 고민이 된다. 한국말은 아와 어가 다르기 때문에 내가 자칫 잘못 얘기하면 나의 의도와는 반대되게 인식될 수 있.. 2022. 12. 12.
20221209 데일리 회고 ✔️Date : 2022.12.09 What did you do? 📄 이력서 작성 자기 소개 내용 정하기 기술 스택 정리 프로젝트 회고 보면서 프로젝트 정리 : 이력서 쓰는 시간을 가졌다. 내가 써본 이력서라고는 알바몬 이력서가 전부라, 처음에 고민이 많이 되었다. 어느 정도를 넣어야 하는지, 감이 잡이지 않았다. 그래서 내가 확실히 어느 정도 대답할 수 있는 부분만 상세히 적어보았다. 아마 경력자들이 보면 문제가 많은 이력서겠지만, 나의 나름대로 열심히 적었다. 막상 노션 이력서를 적고 나니, 특색이 느껴지지 않는 느낌이였다. 너무 정형화 되고, 내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 무엇인지 눈에도 안 띄었다. 그래서 Canva를 이용해서 만들었다. 사실 만들고 나니 칸바로 만든 것도 딱히 장점이 엄청 눈에 들어오.. 2022. 12. 9.
20221208 데일리 회고 ✔️Date : 2022.12.08 THU ⭐️ 2022.10.20 - 2022.11.07 : 프리 프로젝트 👉🏻 회고를 쓰다가, 프로젝트 내용 정리와 회고가 겹쳐서 프로젝트만 작성 ⭐️2022.11.08 ~ 2022.12.07 : 메인 프로젝트 ⭐️ 프로젝트 내용들은 해당 카테고리에서 확인 가능 What did you do? + 돌아보기 ✅ 잡서칭 : 프로젝트가 끝나고 이제 취업을 위한 잡서칭 시간이 생겼다. 이걸 하면서 개인적으로 엄청 반성했다. 처음에 책을 읽어야지 다짐했으나 어느 순간 책을 읽지 않았다.... 그리고 블로깅도 그렇게 잘한지 모르겠다... 기술 면접 준비도 아직 많이 모자라다... 사실 바쁘다는 핑계로 열심히 하지 않았다.. 이후 젭에서 Q&A 시간을 가졌는데, 꽤 유익했던것 같다... 2022. 12. 8.
20221028 데일리 회고 ✔️Date : 2022.10.28 FRI What did you do? ✅ Check Style Build Error : 흐헝.... 진짜 이거 때문에 아침 내내 .. 지우고 받고 지우고 받고 했다.. 괜히 하자고 했나 싶기도 하고... 진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왜 안되는지 찾다가 왜 리포트에 폴더가 안생기지 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어버린... 찾게되는 과정! 진짜 눈물날 뻔했다. 거짓말 안하고 진심으로 소리질렀다.. 요즘 미라클 모닝 하기로 해서 여덟시에 시작했는데,,,,,,!!!!!! 약 네시간 반을... 투자했기 때문이다. 근데 진짜 모든 단서는 에러메세지에 있었다. 알고보니 파일을 찾는 위치가 잘못...된것! 아니 그냥 빌드가 알아서 잘못 찾아간것! 그래서 그 위치로 내가 컨벤션 파일들을 옮겨주니.. 2022. 10. 28.
20221027 데일리 회고 ✔️Date : 2022.10.27 THU What did you do? ✅ 연관관계 매핑 : 연관관계 매핑 과정에서 나도 이해가 많이 덜 되었었다. 그래서 같이하는 팀원 분께 설명을 하는 게 많이 모자랐다. 그래서 그만큼 정리하고 생각해보았다. 그러면서 나도 블로깅을 어떻게 해야할 지도 고민해 보았다. 그래서 정리가 많이 되어 주말 안에 블로깅을 하는 것이 목표이다. 나는 매핑을 할 때 주인관계를 생각하기 보다는 어떤 id를 FK로 만들어야하는지 혹은 어떤 id를 기준으로 참조가 되는 지를 생각하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주인관계에 대해 설명하라고 하면 그 부분은 많이 모자라다. 그 파트를 좀더 찾아서 공부하고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요했던 부분은 유저와 추천한 게시물 사이의 관계였다. 만일 내.. 2022. 10. 28.
20221026 데일리 회고 ✔️Date : 2022.10.26 WED What did you do? ✅ 깃 문제 해결 + 체크포인트 문제 : 시작부터 오늘의 메인이자 하이라이트... Git flow가 꼬였다..! 플젝 기록에도 남겼지만, main브랜치에서 dev 브랜치 동기화가 안되어 문제가 발생했다. 이 이유는 dev-be 브랜치가 main에 초기설정 커밋하기 전에 나뉘어진 브랜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dev-be로 커밋하고 머지했어야 했는데, 메인으로 가서 꼬인 것이었다. 근데 이것을 발견을 아침에....한.... PR 날리기 전에 확인하고 폴더 밀고 다시 작업해서 PR을 날렸는데... 왜 그대로.....😱 그래서 다시 싹 밀고 클론 받은 후,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Pull을 한 번 더 해주고 그 이후에 브랜치를 나누고 다시 .. 2022. 10. 26.
20221025 데일리 회고 ✔️Date : 2022.10.25 TUE What did you do? ✅ ERD 및 테이블 명세서 작성 : ERD를 작성하고, 테이블 명세서를 작성하였다. 작성하고 보니 확실히 도움이 되었다. 예전에는 그저 머리 속으로 필요한 것을 생각하고 제약 조건을 생각했다면, 문서로 작성하니 확실히 틀이 존재했고 이후에 코드를 작성할 때에도 도움이 되었다. 이 ERD와 테이블 명세서를 바탕으로 Entity Class를 구현했기 때문이다. 여러 명이서 프로젝트를 작업할 때, 문서화 되어있는 틀이 있으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게 되었다. 또 굳이 여러명이 아니고 나 혼자 무언가를 복습하고 만들어 볼 때에도 이렇게 문서로 작성하면 굉장히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이게 최종이 아니고 꾸준히 수정해나아가겠지만, 그래도 .. 2022. 10. 25.
20221024 데일리 회고 ✔️Date : 2022.10.24 MON What did you do? ✅ 프로젝트에 필요한 문서들 SRS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화면 정의서 테이블 명세서 API 명세서 : 위 처럼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 필요한 문서들에 관련한 개념 학습을 하였고, 팀 회의를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는 조금 적어보았다. 사실 처음에 개념으로 접했을 때는 그냥 모호하게 이해가 되었다면, 찾아보고 적어보니 조금은 그림이 그려졌다. 지금 당장은 모든 문서를 이해하지는 못했다. 그냥 모호하게 문서들을 이런식으로 나눠 정리하는 구나 정도로 이해했다. 각 문서 하나 하나 세부적으로 지금 당장 차이를 설명하라고 하면, 솔직히 못할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문서들도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 적어볼 수 있으면 적어보고, 시간이 .. 2022. 10. 24.
20221021 데일리 회고 ✔️ Date : 2022.10.21 FRI What did you do? ✅ GitHub Project 칸반 : GitHub Issues를 만드는 것은 페어 님과 게시판 프로젝트를 생성하면서 해본 적이 있다. 그 때는 다 하나씩 검색해서 찾아가며 했었다. 다시 하려고 보니 생각보다 간단하고 쉬운 것이었다...! (충격..) Template도 그때 찾아봐서 기억을 했다. 그래서 여기까지는 그래도 나름 쉽게 따라갔다. 다음에 나온 것들은 되게 신기하고 게시판 프로젝트를 하는 데에 있어서도 해봐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던 부분이다. Milestone과 Project이다. Project는 GitHub의 칸반인 것 같다. 하나하나의 이슈를 milestone으로 묶어 하나의 작업의 처리 과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2022. 10. 21.
20221020 데일리 회고[Start Pre-Project!] ✔️ Date : 2022.10.20 THU What did you do? ✅ Team Building : Pre-Project의 팀장님을 정하고, 규칙 등 팀 프로젝트를 할 때 기본이 되는 팀을 만드는 시간을 가졌다. 팀원분들이랑 처음 만나는데 굉장히 낯설고 어색하지만 설레기도 했다 😃 아직은 낯설지만 두렵지만 이주가 지나면 시간이 빠르다고 느껴지겠지? 처음 접하는 플랫폼들이 있었다. 굉장히 신기했고, 좋았다. 내가 언제 어디서 어떤 플랫폼을 이용해 소통하고 기록할지는 모르는거니까! 미리미리 다 경험해볼 수 있는 건 좋다! 우선 앞으로 어떻게 프로젝트를 하면서, 내 시간을 사용해서 공부할 지 생각해보고 대충 그림을 그려야 할 것 같다. 분명히 나는.. 계획 없이 하면 답이 없을 것을 알기 때문이다.. .. 2022. 10. 20.